중추절 월병세트를 가지고 온 카페단골손님들

지난번 중추절에 저의 카페 단골손님이 월병세트를 가지고 와서 나눠 주더군요. 그래도 명절이라고 음식도 가지고 와서, 체스도 함께 두자고 해 주는 마음이 감사하더군요.

이 손님이 아마도 저의 카페에서 체스를 둔 사람 중에는 Top2 에 들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데요. 제가 체스를 배우던 초기에는 저는 상대가 안 되는 수준이었으나…

이번엔 제가 2승1패로 우세였고, 경기내용에서도, 축구로 치면 점유율 7:3 으로 앞서는 상황이어서 저 친구 살짝 당황한 표정이 보이더군요. 특히 첫판을 마치고 나서는 함께 온 자기의 친구에게 ‘이렇게 공격 당하는 건 처음이다’ 라고 속삭이기도 하더군요. 제가 연습을 조금 했거든요. 그동안.

며칠전 2층에 카페룸 하나를 더 만들었다고 글을 올렸었는데요. 오늘 토요일 드디어 새롭게 만든 룸까지 꽉 찰 정도로 손님이 거의 만원이었습니다. 저는 이렇게 손님들의 오토바이나 자전거가 꽉 차있는 모습을 보면 기분이 좋습니다. 

오토바이면허도 없고, 탈줄도 모르지만 이런 오토바이는 멋지네요. 요즘 스쿠터타다보니 오토바이면허 한번 따 볼까 생각이 조금씩 들긴 합니다. 

여기는 많은 손님들이 오토바이 아니면 자전거로 방문을 합니다. 가끔 차량이나 도보도 있지만 그래도 오토바이, 자전거 비율이 더 많죠.

여기 대학가주변의 카페중에서는 가장 ‘통상적인 카페처럼 생긴’ 카페인데요. 대학가 주변에 고만고만한 작은 카페들이 있긴한데, 전 그 카페들이 저의 카페의 경쟁대상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카페의 컨셉이 다르거든요. 하지만 이 카페는 저의 카페와 컨셉이 유사해서 서로 손님군을 나눠 가지는 포지션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기존에는 운영시간이 9:00~18:00 였는네 오늘보니 영업시간이 위의 사진처럼 바뀌었네요. 하루 7시간 카페운영을 하는데요. 제가 차이컬쳐에서도 대만의 자영업상점의 짧은 영업시간이 참 부럽다 라고 언급을 자주 했었는데, 여기는 영업시간을 확 줄였네요.

사실…

저도 휴일에는 8:00~20:00 로 했다가 10:00~20:00 로 변경을 했구요, 18:00~20:00 에는 손님이 거의 오지 않는건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영업시간이 저는 납득이 되긴 하네요. 저보다 더 오래 여기서 영업을 한 여기 현지사람이니까 더 잘 파악을 하고 있겠죠.

보통 식당은 Last Order(마지막 주문시각)을 운용하는 곳이 있지만, 카페는 Last Order 를 운용하는 곳은 많이 보지 못 했습니다. 저는 영업마감시각이 지나도 손님에게 억지로 나가라고 하지 않고, 탄력적으로 운용합니다. 

주5일 하는 대만 자영업상점

분위기전환용으로 카페 유리문에 형광펜으로 영업시간을 적어 보았습니다. 적은 비용으로 소소하게 바꿀 수 있는 분위기 인데요. 저 고양이사진도 분위기전환용으로 올해 붙인 겁니다. 

9월엔 추석연휴가 있습니다. 대만도 추석연휴에는 쉬는데요. 이번추석연휴는 월요일을 끼고 있더군요. 저의 카페 정기휴무일이 매주월요일 이거든요. 그래서 추석휴무 월요일 그냥 쉬지 말고 일을 할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대체로 주말, 공휴일에 손님이 더 많거든요. 저 같은 영세 소규모 자영업자들은 월세, 인건비를 위해서라면 하루라도 더 벌어야 합니다.  

대만와서 지금도 놀라는 것 중 하나는, 대만에는 자영업자들의 휴무일과 영업시간이 한국보다 현저히 짧다는 겁니다. 

저 식당만해도 주5일 근무를 하면서 8월에는 하루를 더 쉬네요. 저의 주변 자영업하는 가게들 보면 수시로 쉬고, 자주 가는 가게의 경우에는 최근에 아예 일주일 문닫고 여행을 다녀 왔더군요. 그 가게 주인은 이번뿐 아니라 개인행사나 여행갈 일이 있으면 그냥 며칠씩 문닫고 휴무를 합니다. 

그리고 보통 자영업은 영업시간이 직장인들 8시간/일 보다는 더 긴 것이 보통이지만, 대만에서는 주5일 영업에 하루 8시간 영업하는 가게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완전히 직장인 근무시간인데요. 

저는 아직 카페를 시작한지 일년하고 3개월 정도 밖에 되지 않아서인지, 정기휴무일 외에는 카페문을 닫은 적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여기 대학교 주변 상권은 대학교방학기간에는 아예 영업을 하지 않는 곳도 많습니다. 

모 유렵국가의 상점들처럼 저녁 7시 8시 되면 문닫고 저녁이 있는 삶을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죠. 

저도 한국인이라 어쩔 수 없이 일을 적게 하고 있으면 불안함? 이 있네요. 그럼에도 저는 한국은 노동시간이 너무 많다 라는걸 살면서 체험을 한 사람이라 가급적이면 평생을 노동에만 속박되어 살지 않으려 노력하는 편입니다. 

이웃집 화분에 파인애플이 무럭무럭 자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