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살고 있는 동네의 집들은 대부분 이런 모습입니다. 저의 카페 맞은편 건물도 저런 기와지붕이죠. 그냥 시골마을입니다. 한집건너 한집이 농사를 짓는 어르신들이고, 최근에는 농사를 직접 짓지 않아도, 이전에는 농경관련 일을 하셨던 어르신들이 대부분입니다.
그 와중에는 간혹 젊은 30대 40대도 보이긴 합니다.
어제 보니까 저의 카페골목에서 마을입구쪽에 무슨 대형천막을 쳐 놓고 행사를 준비하는 것처럼 보이더군요. 그 곳에 작은 절이 있어서 종종 절에서 행사를 하거든요. 또 이번에 절에서 행사하나 보다 라고 생각을 했는데…
평소 항상 지나다니는 집이었는데, 거기 할머니께서 별세를 하셨더군요. 대략 한달사이에 저의 마을에서, 한번은 가게 오른쪽편집, 이번엔 가게에서 왼편집, 2~3주전인가?는 한골목 돌아서 모퉁이에 있는 집의 어르신이 별세를 하셨습니다. 한달(아주 정확하지는 않습니다)여 만에 마을의 3명의 어르신이 별세를 한 건데요.
가뜩이나 여기도 인구가 감소하고 빈집이 곳곳에 많은데, 한달여만에 골목길 하나를 두고 3명의 어르신이 별세를 하셨네요. 평소 그 분들이 정상적으로 활동을 하셨거든요.
지난번 카페 오른편 집에서 상을 당했을때도 그 앞의 절에서 하는 행사인가 하고 가보니 초상을 치르고 있어서 순간 급숙연해졌었거든요.
저는 살짝 당황했었는데, 정작 유족들은 호상이라면서 웃고 저에게 말도 건네주고 해서 이야기 많이 하다가 왔습니다.
이번에는 위의 사진처럼 왼쪽편의 집에서 어르신이 상을 당하셨습니다. 도시에 살면 한 아파트, 혹은 이웃이 상을 당해도 집에서 장례를 치르지 않기에 상을 당했는지 알 수가 없는데, 이런 시골마을은 집앞에 크게 천막을 펼쳐놓고 장례를 지내니까 바로바로 알 수가 있어서 더 체감이 되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장례를 치르는 빈도는 도시의 나의 집 부근이 더 많을지는 몰라도, 도시에서는 이웃이 장례를 치르는지 알 수가 없으니까요. 저도 이런 시골에 온지 대략 일년 가까이 되어 가는데, 최근에 갑자기 추워지고 기온차가 많이 나서 그런건지 어르신 사망이 3건이나 있었습니다.
저는 아직 죽음을 논할 그런 나이는 아니라고 생각은 하는데, 언젠가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에 너무나 큰 후회는 하지 않고 미련없이 세상을 떠날 수 있도록 살려고는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