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태국방콕에서 떠오르는 젊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카페거리?를 돌아보겠습니다. 

이 곳은 방콕의 차이나타운부근에 있는 곳인데요. 오래된 건물들이 보존되어 있는 곳인데 최근에는 젊은사람들이 많이 찾아 젊은사람들 취향에 맞는 카페가 많이 들어서고 있는 곳입니다. 

코로나시기때 자주 오던 지역인데, 확실히 지금은 코로나가 끝나서인지 사람도 그 때 보다 더 많은 것 같고 영업을 하는 카페나 상점이 더 많아 진 듯 보였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에 없던 신규 상점도 더 보였습니다. 

방콕 차이나타운을 가시면 대로변 말고 외곽의 뒷골목에 이런 젊은사람들이 찾는 장소나 카페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유는 당연히 대로변은 비싸거든요.

저기 골목길이 보입니다. 골목길로 한 번 들어가 봅니다. 

코로나이후 상권이 회복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지는 것이, 곳곳에 이런 새롭게 영업을 준비하는 곳들이 눈에 들어 왔습니다. 여기는 관광객들을 위한 민박을 준비하는 듯 합니다. 

아무래도 외부인구가 많이 유입되어 찾아줘야 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는 거죠. 

외지에서 온 관광객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골목길을 따라 걷다보면 현지인들이 사는 모습들도 엿볼수 있고, 또 이런 허름해 보이지만 뭔가 오래된듯한 가게도 볼 수 있어 좋습니다. 

가정집을 개조해서 중국식 만두를 만드는 곳입니다. 여기는 차이나타운 입니다. 

골목길 영상은 곧 저의 유튜브채널에서 더 많이 소개해 보겠습니다. 

곳곳에 이런 형태의 카페들이 있습니다. 

중간에 자세히 보시면 BASQUE BURNT CHEESECAKE 이라고 해서 150BAHT 에 팔고 있거든요. 

저의 대만카페에서도 저 BASQUE CAKE을 직접 만들어 파는데, 저희보다 대략 1000원 정도 비싸게 파는데, 그럼에도 저 카페가 더 크고 위에 크림치즈 같은 것이 한층 더 올라가 있긴 하네요.

케잌류들인데, 태국이 물가가 싸다고 하지만 이런것들은 한국과 가격이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이 골목도 이전에 자주 오던 곳인데, 이 카페는 못 본 것 같거든요. 아마 최근에 새롭게 생긴 것 같습니다. 그냥 별거아닌 오래된 골목길에 이렇게 하나둘 카페들이 모여드니까 점점 카페거리로 되어 가는 모습입니다. 

저도 여기 대만 지방에서 약간은 외진 주택가 골목에 카페를 열었거든요. 많은 분들이 ‘어떻게 이런 장소에 카페를 열 생각을 했어요?’ 라고 말을 많이 합니다.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골목에 식당이나 카페를 열면 좀 더 상권이 활성화 될 것 같긴 한데, 아직은 그런 조짐이 보이질 않네요.

여기서 한무리의 젊은 사람들이 사진을 찍고 있길래 보니까 저기 사진자판기? 라고 하나요? 저기서 사진을 찍고 있더군요.

이 부근은 건물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걸어볼 가치가 있는 곳입니다. 

대부분의 건물들이 50년 100년 정도 된 건물들이거든요. 어떤 건물에는 건물 지어진 연도가 있어서 알 수 있습니다. 

저 건물은 창인지 문인지 용도가 불분명한 문이 바깥쪽으로 나 있네요.

그런 오래된 건물에 이렇게 현대식 카페나 식당을 운영하는 곳들이 많아 졌습니다. 이전에는 이 곳이 한산했었거든요.

여기는 태국문화와 중국문화와 저기 골목안쪽의 무슬림문화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이 가게도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입니다. 

저의 카페벽에도 벽화를 하나 그릴까 생각을 했었거든요. 아직 실행을 하지는 못 했는데, 벽화를 그려서 저렇게 젊은 사람들이 사진찍으러 오는 장소가 되어도 좀 더 손님을 유치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여기도 뭔가 장사가 잘 되는 것 같더군요. 젊은사람들이 주문을 기다리거나 사진을 찍는 모습입니다. 

여기는 머리를 잘 썼더군요.

카페나 식당은 테이블공간=고정비용 인데요. 여기는 그냥 카페옆 통로, 빈 공간에 그냥 저렇게 의자 테이블 놓고 앉아서 먹게 만들어 놓았는데, 오히려 저런 느낌 좋아하는 젊은사람들에게 반응이 좋은 것 같네요.

지붕이 있어 그늘도 자연스레 만들어지고 저렇게 통로식으로 되어 있으면 공기의 흐름이 빨라져서 좀 더 시원할 수 있거든요. 成安街 라고 안쪽으로 들어가는 통로인 듯 보입니다.  오른편의 건물도 엄청 오래되어 보이죠. 위의 사진 보시면 나무문으로 여는 그런 형태의 창문이 남아 있네요. 그 옆의 유리창문이 현대식으로 느껴집니다. 

차이나타운이라 곳곳에 한자가 많습니다. 對我生財。。。 직역하면 ‘나 돈 많이 벌게 해줘’ 인데요.

한자를 조금 아시는 분은 我가 ‘나’ 를 의미한다는 걸 아실텐데요. 아래사진은 차이나타운 다른 곳에서 찍은 겁니다. 자세히 보시면 글자 하나가 다르죠.

對吾生財

吾 도 我 와 비슷하게 ‘나’ 라고 해석을 하시면 됩니다. 나, 우리 이 정도로 해석을 하시면 되는데요.

그럼 저 한자 吾 가 나온김에… 

기미독립선언문 보시면 첫머리에 저 한자가 나오죠. 吾等(오등)은 이라고 시작을 합니다. 우리는 이라는 뜻인데… 뭐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냥 저 한자가 나온김에 소개를 해 보았습니다.  둘다 방콕차이나타운에서 찍은건데, 저런 문구가 군데군데 보이면, 역시 중화권사람들은 恭喜發財 . 재물을 중요시 여기는 문화가 있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국은 이전 어른들이 ‘어린것들이 돈 밝히면 안 돼’ 라면서 돈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걸 약간은 금기시? 터부시? 하는 경향도 있었거든요. 이전 양반들이 상공업자들을 천시하는 문화의 잔재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이런 오래된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있는 젊은사람들 입니다. 

오래된 건물들을 보면서 100년전 이곳 중화권사람들은 이런 집에서 살았구나 라고 상상을 하며 걸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차이나타운 오시면 가장 번화한 거리 위주만 보고 가시는 분들이 많지만, 외곽의 골목길에도 요즘 새롭게 카페들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본문 중간에 새롭게 영업을 준비하는 가게들이 많이 보인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여기도 오래된 건물의 벽을 뚫어 통유리를 박아 넣은 모습입니다. 곧 뭔가 오픈을 할 것 같네요.

홍대상권도 가 보시면 기존 홍대의 큰 거리가 포화가 되다보니 점점 외곽의 주택들을 저런 식으로 개조해서 카페나 식당으로 영업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가정집을 개조할 때 벽에 통유리 박아 넣은 형태를 볼 수 있는데요. 연남동 주택가 골목에 가면 많이 볼 수 있죠.

건물 2층에는 이미 영업을 하는 모습입니다. 아직 나무창문이 남아 있고, 저런 형태의 발코니가 남아 있는 건물입니다. 

이런 오래된 건물 보는 것 좋아하고, 또 중화권 사람들이 오래전 태국에 와서 살았던 삶의 흔적을 보시기 좋아한다면 방콕차이나타운의 주변 골목길 여행을 추천드립니다. 

다음엔 여기서 조금 더 먼, 최근에 또 많은 사람들이 찾는 방콕차이나타운 주변 거리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5월 1일 노동절 휴일입니다. 태국은 오늘 하루 휴일이고, 중국은 황금연휴, 대만은 오늘부터 일요일까지 쭉 쉬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한국은 오늘 쉬는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