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 방학때 시골가면, 강에서 작은 다슬기 잡아 반찬으로 해 먹고, 또 위의 사진과 같은 논고동도 잡아서 반찬으로 해 먹었거든요. 그 당시에는 시골에 딱히 고기반찬이 흔하지 않던 시기라 동네 강가나 논두렁에 가서 저런 고동류나 물고기 잡아서 반찬으로 많이 해 먹었습니다.
오늘은 최근 태국지인의 태국시골살이 모습을 다시 소개해 봅니다. 이 태국지인은 고향을 떠나 도시근처 공장에서 직장생활 하다가 미래에 답 없음을 느끼고 다시 고향으로 가서 다른 삶을 살고 있는 중입니다.
한국에서는 저런 크기의 논고동을 본 적이 없습니다. 역시 태국 열대지방의 힘. 대체로 강속의 다슬기 보다는 논고동이 크긴 해도 사람 손바닥만 하지는 않았거든요. 이건 반찬이 아니라 주요리로 해 먹어도 될 듯 합니다.
한국시골 강가에도 붕어가 있습니다. 제가 초등학생때 강속에서 손으로 붕어를 딱 한번 잡아 봤었는데요. 돌틈 사이에 손을 넣었는데, 뭔가 물컹하는 것이 있었습니다. 첨에는 이상한 동물이나 뱀일까봐 무서워 손으로 꽉 쥐고 빼내 보니 붕어더군요.
제 기억으로 제가 초등학생시절 민물고기들이 그렇게 크지 않았습니다. 고만고만한 크기의 민물고기들을 ‘많이’ 잡아 주로 탕으로 해 먹었습니다.
차이컬쳐에서 몇 번 소개를 했던 메기인데요. 이번에는 저렇게 통발로 잡았습니다. 그물로, 통발로…
크기가 좀 있는 물고기는 이렇게 구워 먹어야죠.
이 지인뿐 아니라, 현재 저와 연락하는 태국지인들은 모두 엄청 잘 먹습니다. 사진을 주고 받고 하니 생활하는 모습을 알 수 있는데요. 대체로 느끼는 건 먹는건 정말 잘 먹는다는 겁니다.
이게 날씨가 더우니까 가능한거죠. 동식물이 자라도 빨리 자라고, 자라면 크게 자라고. 인구밀도는 낮은데 자연이 넓으니 각종 동식물도 많구요.
저기 왼쪽에 보이는 건 옥수수처럼 보입니다만.
물론 저 태국지인의 집 주변에도 옥수수도 있고, 바닥에 호박/오이류도 보입니다.
하지만 쟤는 옥수수가 아니라 밥을 뭉쳐서 직화로 구워 놓은 겁니다. 살짝 누룽지 느낌도 나구요.
대만에서도 많이 생산이 되는 석가 라는 과일인데요. 지금 이 글을 쓰면서 먹고 있습니다. 대만이 산지이긴 하지만 큰 건 그래도 개당 대략 4000원 정도인데요. 저 태국지인은 집 주변에서 따서 먹는 모습입니다. 대만오시면 저 석가 꼭 드셔 보세요. 지금 먹고 있는 것도 엄청 달고 맛있습니다.
저 지인들 공장에서 일 할 때 정말 힘들고 어렵게 살았거든요. 태국공장의 (일반생산직) 월급은 정말 낮습니다. 거기에 지저분하고 열악한 단칸방도 빌려야 하고, 도시라서 기본생활비도 많이 들어가고.
많은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돈이 없어 도시를 떠나지 못 한다는 걸 알고 있지만, 저 지인들은 고향에 저렇게 큰 집과 땅이 있고, 무엇보다 농장이 있어서 본인들이 할 일도 있고, 수익도 조금 낼 수 있으니까요.
서울에서 200만원 받고 월세내고 비싼 생활비 부담하면서 스트레스 받으며 사느니, 적게 벌더라도 저렇게 자기 집에서 자유롭게 사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뭐 월급이 아주 많으면 참으면서라도 살겠지만, 저 지인들은 월급도 낮고 삶의 질이 말이 아닌 수준이었습니다.
도시에 살아도 가난한 젊은 사람들 지금 많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