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의 대만지인이 하는 공연을 다녀 왔습니다.
이 대만지인이 며칠전 저의 카페에 방문했었다는 글을 올린 적이 있는데요.(보러가기)
그 당시 저의 집에서 멀지 않은 대만중부의 난터우 라는 곳에서 공연을 한다고 해서 다녀 왔습니다. 거의 매주 공연을 하는 듯 하지만, 너무 멀리서 하면 가기가 어렵거든요. 마침 저 날이 카페휴무일인 월요일이라 부담없이 다녀 올 수 있었습니다.

등축제 주최측에서 다양한 공연팀을 초청해서 공연도 하더군요.
기간이 구정과 정월대보름 사이라서 대체로 분위기가 신년느낌이 많이 났습니다. 중화권에서는 구정부터 15일 정도는 실질적인 연휴는 아니지만 뭔가 축제느낌이 납니다. 중국본토는 실제로 2주정도 쉬는 회사들도 있으니까요.

저는 살면서 다양한 문화공연들을 접하려 노력을 하는 편인데요. 사람마다 인생의 가치관이 다 다르겠지만, 인생의 대부분을 ‘돈 버는 행위’ 만 하면서 지적인 문화소양 등을 갖추지 못 하는 노인이 되기는 싫네요. 가끔 나이가 좀 있는 사람들 중에는 기본적인 문화소양이 없이 오로지 돈 이야기만 하는 사람이 있는데, 뭐 그런 사람들은 또 그렇게 사는거고. 저 같은 사람은 또 이렇게 사는 거죠.

마찬가지로 저 대만지인은 아주 어릴때부터 저런 공연하는 걸 배워서 이런 공연을 하면서 살아가는 문화예술인 인데요. 어찌보면 행위예술가 정도 되겠습니다.
어느 분야가 되었든, 자신이 하고 있는 분야를 즐기고 열심히 하며 보람을 느끼면 되는거죠. 정작 자신의 삶에 만족을 못 하고 30, 40, 심지어는 50이 넘어서도 자신의 삶의 진로를 제대로 못 잡고 사는 사람도 많은데요.
살면서 이런 공연 보러 다닐 기회가 없으신 분들도 많으실거라 생각됩니다.
어린 아이들을 키우시는 분들은 아이들과 함께 각종 문화예술공연을 한 번 다녀 보세요. 제가 지금까지 인생의 다양한 곳을 다니며 경험을 해 보니까, 10살 전후의 어린 아이들 중에서도 확실히 부모따라 세계를 많이 다니고,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한 아이들이 확실히 말도 잘하고 똑똑하더군요.
어떤 아이들은 어른들이 묻는 말에 단답형으로만 대답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어른들과도 ‘대화’ 를 하는 어린 아이들도 있습니다. 확실히 보면 어릴때부터 많은 경험도 하고 문화예술공연도 많이 보러 다니고 하는 아이들이 좀 사람들을 대하는 능력이 좋고 언어능력도 좋더군요.
최근에 비슷한 나이대 13~15살 카페손님 아이들과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확실히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아이들과 문화예술공연 함께 보러 다니면 좋죠.
그리고 아이들과 사람들이 많은 전시회나 시장, 이런 곳을 가게 되면 아이들의 눈높이에서는 가판대의 물건들이나 사물이 잘 안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못 믿겠으면 아이들 눈 높이로 휴대폰으로 촬영을 해 보세요. 그래서 아이들을 안고 어른들의 눈높이로 해서 구경을 시켜 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