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마트에도 춘절분위기가 물씬 나네요

중화권의 춘절은 화려하죠. 다음주 중화권 최대명절을 맞이하여 대만도 점점 춘절의 분위기가 올라오고 있습니다. 

해외여행을 좋아하시거나 해외문화에도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중화권에서 춘절연휴기간을 한 번 보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참고로 중화권 하면 중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대략 이 정도로만 생각할 수 있지만 제가 살았던 태국이라든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등 동남아국가에서도 중화권문화가 많이 남아 있어서 차이나타운 같은 곳에 가면 춘절의 분위기를 나름 느껴볼 수 있습니다. 

태국의 어느 골목길 안쪽에 그려져 있는 중화권느낌이 물씬 나는 그런 벽화입니다. 골목이 협소해서 사진을 저 각도에서 간신히 찍을 수 있었습니다. 태국등 동남아시아에는 화인華人이라고 해서 부모, 조부모 선대가 중국본토에서 넘어온 후손도 많고, 연세가 있는 태국이들 중에는 중국어를 간단히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생활속에서도 중화권의 문화가 남아 있습니다. 

태국에가면 이런 오래된 상점등에 한자가 병기되어 있는 곳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어디서든 쉽게 찾을 수 있죠. 이런 곳들은 이전에 화인들이 운영을 했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3개의 층에 걸쳐 다양한 영업을 했네요. 저에게 ‘해외거주화인’ 하면 떠 오르는 이미지는 ‘상인’ ‘장사꾼’ ‘사업가’ ‘돈버는수완좋은사람’ 입니다. 실제로 화인들이 동남아에서 장악하는 경제력이 대단하죠. 30%도 안 되는 인구로 70% 이상의 경제력을 장악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한국은 그나마 화인들이 경제적으로는 힘을 발휘하지 못 한 나라입니다. 무튼…

중화권에서는 춘절이 되면 發財 돈을 많이 버는 것에 대한 덕담도 많고, 미덕으로 여기죠. 한국은 이전 유교사상, 양반선비 관념이 남아 있어서 상인들이나 돈을 직접 언급하는 것은 천한 것들이 하는 것으로 터부시 하는 경향이 남아 있어서인지 어쩐지, 한국의 부모들은 자식들이 돈이나 경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 하면 ‘어린 것들이 돈 밝히는 거 아냐, 너는 공부나 해’ 라고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중화권이라고는 하지만 북방쪽은 남방, 즉 절강성 온주사람들이나 광동성 사람들 보다는 조금 덜 하고, 남방사람들이 좀 더 재물관련 해서는 더 적극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래전 북미나 유럽, 아시아권에 퍼져 나간 화인들은 대체로 남방쪽 사람들이 많은 편입니다. 

그리고 중화권춘절 하면 빠질 수 없는 홍빠오도 다양한 문구와 함께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굳이 저렇게 구입을 하지 않아도 각 기업체에서 자신들 로고나 상호가 적힌 홍빠오를 대량으로 뿌리기도 합니다. 

붉은색 의류나 속옷들도 부쩍 많아진 느낌입니다. 저 마작무늬옷은 대만사람들도 안 입을 것 같은 디자인인데요.

또, 이 기간에는 어디서든 저렇게 다량의 사탕류春糖을 판매하는 모습을 보실 수 있구요. 타이베이쪽에서는 디화지에迪化街 가시면 엄청난 양의 사탕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지금쯤…

 

한국도 명절이면 선물세트를 많이 팔듯이, 여기도 이런저런 선물세트가 많습니다. 그리고 제가 매일 마시는 제로콜라포장지도 춘절느낌나게 바뀌었네요. 

저는 춘절이라고 딱히 한국을 들어가지는 않아서 올해도 카페를 열어야 할 것 같습니다. 

가끔 카페손님들이 ‘가끔 한국집이 그립겠어요’ 라고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저는 인천공항 내리는 순간, 여행을 하는 느낌이 들구요. 대만 타오위안공항 딱 내리면 여러분들이 해외여행 하고 나서 인천공항 내려서 ‘드디어 집에 돌아왔구나’ 라는 느낌이 듭니다. 제 집이 대만에 있으니까, 한국을 가면 ‘잠시방문’ ‘출장’ ‘여행’ 이런 느낌이고 동생집에 며칠 머물러도 좀 불편하죠.

여기 학생들은 대부분 방학을 해서 이번주에 대부분 집으로 돌아가는 분위기이고, 이번 금요일저녁부터는 본격적으로 춘절연휴 분위기가 날 것 같습니다. 어디서 춘절/구정을 보내시든 즐겁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2025년 첫 자동차여행

2025년 시작을 자동차여행으로 했습니다. 어쩌다보니 최근에는 자동차여행을 많이 다니게 되네요. 

마침 연말을 맞이하여 태국친구가 대만에 겸사겸사 오는 바람에 저도 겸사겸사 여행을 시켜 주었습니다. 

2025년 시작을 자동차여행으로 했습니다. 어쩌다보니 최근에는 자동차여행을 많이 다니게 되네요. 

마침 연말을 맞이하여 태국친구가 대만에 겸사겸사 오는 바람에 저도 겸사겸사 여행을 시켜 주었습니다. 

먼저 여기는 도자기로 유명한 잉거마을 입니다. 단기여행자들은 여행코스에 넣지 않는 곳이지만, 혹시 타오위안공항으로 출국을 하는데, 시간이 대략 2시간 정도 남는다고 하면 여기를 갔다가 공항을 가는 것도 효율적인 동선이 될 수 있습니다. 타오위안공항에서 멀지 않거든요. 

특히 주말에는 관광객이 꽤 몰리는 곳이기도 합니다. 

2025년 시작을 자동차여행으로 했습니다. 어쩌다보니 최근에는 자동차여행을 많이 다니게 되네요. 

마침 연말을 맞이하여 태국친구가 대만에 겸사겸사 오는 바람에 저도 겸사겸사 여행을 시켜 주었습니다. 

먼저 여기는 도자기로 유명한 잉거마을 입니다. 단기여행자들은 여행코스에 넣지 않는 곳이지만, 혹시 타오위안공항으로 출국을 하는데, 시간이 대략 2시간 정도 남는다고 하면 여기를 갔다가 공항을 가는 것도 효율적인 동선이 될 수 있습니다. 타오위안공항에서 멀지 않거든요. 

특히 주말에는 관광객이 꽤 몰리는 곳이기도 합니다. 

베이터우의 온천마을을 가보고 싶다고 해서 데려다 주었습니다. 참고로 이 태국친구는 저와 대만자전거일주도 함께 하면서 소위 대만여행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또, 아주 이전부터 대만과도 인연이 깊은 친구이기도 합니다. 이번에도 대만의 동료들을 만나 식사도 함께 했더군요. 

제가 한국인관광객들을 데리도 여행하다 보면 대체로 여기 베이터우의 온천마을, 특히 저 지열곡을 좋아하더군요. 날씨가 추울때 오면 온천의 수증기가 찬공기와 만나 멋진 광경을 연출합니다. 

저기 남자분들이 자기들끼리 “사진 좀 찍어 줄 사람 찾아 봐라” 라고 하면서 아무래도 제가 외국인처럼 보이니까 중국어를 하는 사람을 찾는 것 같더군요. 마침 옆에서 제가 그 말을 듣고는 제가 사진을 찍어 드렸습니다. 제가 한국사람이라고 하자, 중국어를 왜 이렇게 잘 하면서 ‘다행히 우리가 외국인 욕 안 했네’ 라며 농담을 하시더군요.

여기 온천지대는 이른 아침에 와서 저 지열곡의 수증기가 가득할 때 와서 봐도 좋구요. 저녁에 와서 하천을 따라 올라오는 증기도 꽤 멋있습니다. 

이른 아침 단수이淡水 에서 간단히 커피와 함께 조식을 하고 걸어 봅니다. 참고로 단수이淡水를 아시는 분들은 많으시겠지만, 저 한자의 뜻을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소개를 해 봅니다.

淡水 병음은 [DanShui] [딴수에이] 이고 민물이라는 뜻이죠. 저기가 바다와 강이 만나는 지점인데, 제가 직접 측정을 해 보지는 않았지만, 강의 하류라서 민물 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낚시를 하시는 분들은 민물고기를 잡을 가능성이 더 많을까요???

그리고 이른 아침인데 삼각대를 놓고 무언가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었는데요. 저 날이 31일이라 반대편에서 불꽃축제를 하는걸 찍으려고 이른 아침부터 자리잡고 기다리는 모습입니다. 심지어는 저기 스타벅스가 있는데 그 모퉁이에서도 삼각대를 놓고 기다리고 있더군요. 

단수이/신베이터우 온천지구에서 한국인 관광객들의 필수코스인 예류野柳로 이동을 합니다.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크게 3개가 있습니다.  

도심가로지르는 고속도로, 양명산 산길, 북쪽해안도로.

소요시간은 거의 비슷합니다. 저는 대체로 양명산을 넘어가는 코스를 좋아합니다. 운전도 가장 험난하고 중간중간 온천수 분출장소들도 볼 수 있고, 풍경들이 다이나믹하거든요. 고속도로 이동은 운전하기에는 가장 편하긴 해도 재미가 없죠. 어차피 인생은 여행인데, 좀 더 다이나믹한 길을 가는 걸 선호합니다. 그래서 산길로 예류로 넘어가 봅니다.  

12월 31일 예류의 바다바람은 너무나 추웠습니다. 저는 자켓을 2개나 이중으로 껴 입고 바다로 나왔거든요. 

간혹 반팔, 반바지, 짧은 치마만 입고 여기를 거니는 사람들이 있더군요. 추운 칼바람이 부는데 반팔 반바지로 거니는 사람들은 도대체…

뱀의 해가 시작되었습니다. 2024년 마지막과 2025년 시작을 자동차여행을 했는데요. 2025년도 저의 여행인생이 계속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사람마다 성향이 다 다르고 인생에 대한 행복기준이 다양합니다. 저의 할아버지 할머니처럼 평생을 작은 시골 논밭 근처에서만 사시며 세상의 기준이 그 작은 시골촌, 부락이 전부인 걸로 아시다가 돌아가신 분들도 계시고, 사람들이 가 보지 않은 길을 가 보며 도전하며 힘든 삶을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2000년 여름 중국 운남성 어느 깊은 산골마을에 갔을때 연세가 엄청 많은 할머니는, 아주 어릴때 이 마을로 시집을 와서 평생을 이 마을에서 떠나 본 적이 없다 라고 하시더군요. 산을 내려가면 아름다운 따리大理 리장麗江 같은 곳이 있음에도 평생을 그 작은 시골마을을 떠나 본 적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전족纏足 이라고 발을 작게 묶어서 만드는 풍습을 아시나요? 이게 발을 작게 만드는 효과도 있지만, 여자들을 어디 돌아다니지 못 하게 구속하는 목적도 있는 악습이죠. 

내 인생을 스스로 전족을 만들어 살 필요는 없습니다. 

저 태국친구와의 더 많은 여행기는 다음편에 올려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