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태국소녀의 시골사는 모습을 올려 보겠습니다. 이 소녀가 20대후반, 혹은 30살 정도 되는데요. 고향 돌아와서 사는 모습을 계속 보내 줍니다.
최근에는 추수가 한창인가 보더군요. 한국은 딱 가을철에만 추수를 하는데, 대만과 태국은 이모작 삼모작이 가능해서 한국입장에서는 부러울 뿐이죠.
땅이 넓으니까 저렇게 텃밭을 만들어 뭘 심어 놓으면 금방금방 자라서 먹을 수가 있습니다. 제 다른 태국친구는 아파트 베란다에 상추같이 생긴 걸 스티로폼 통에 재배를 하는데, 이건뭐… 상추를 돈 주고 사 먹는 제가 바보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금방금방 무성하게 자라더군요.
땅… 제가 지금까지 많은 나라와 지역들을 돌아다니며 사람사는 모습을 보니까 좋은땅 선점하는 것이 참 중요하더군요. 인류사를 보더라도 좋은 땅을 선점한 민족이나 국가가 더 발전을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또, 땅 넓은 나라가 여행을 해도 뭔가 다양한 자연이나 풍경, 문화들을 볼 수 있어 좋잖아요. 이 좁은 대만에서도 저지역사람, 이지역사람, 저지역문화, 이지역문화 나누는 것도 크게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이 태국소녀가 최근 또 뭘 먹고 사는지 한 번 보겠습니다.
태국은 벌집이 참 많습니다. 시골길에 운전을 하다보면, 길거리에 저 벌집채로 내다 놓고 파는 모습도 볼 수 있고, 시장에서도 볼 수가 있습니다.
일단 자연의 면적이 넓으니 꼭 화려한 큰 꽃들이 아니더라도 저런 야생화들이 많습니다. 도심에 살면, 꽃집에서 크고 화려한 꽃들만 접하기 쉬운데, 은근히 넓은 면적에 저런 꽃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니 그런 풍경도 아주 보기가 좋습니다. 제가 태국에 살 때도 저의 태국친구 시골부모님이 채집을 한 벌집을 저에게 선물로 주셨습니다. 물론 저는 돈을 드렸습니다. 아무튼 태국에는 벌집이 많습니다.
태국소녀시골생활기 연재를 보아 오신 분들이라면 익숙한 통발입니다. 도대체 뭐가 저렇게 엄청 나오는지 저도 한 번 통발로 잡아 보고 싶을 정도 입니다. 도심에서 생선을 저렇게 구입하려면 비용이 많이 드는데 말이죠.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저 렇게 불에 고기 하나 구워 먹으려고 캠핑카부터, 텐트, 각종 캠핑용품 등 엄청난 비용을 들이는데, 저 사람들은 그냥 저게 생활입니다.
도시에 살면 저 생선을 굽기 위해서 또 그릴판? 같은걸 사야한다고 구입을 했겠지만, 그냥 식물줄기대로 해결을 하는 모습입니다.
세상을 돌아다니며 경험을 쌓으며 살아보니, 사람들은 너무 많은 물건들을 구입하면서 남에게 보여지는 시선을 의식하며 살다보니 점점 더 불행해지는 것 같습니다. 분명 “물건”은 저 태국시골소녀 보다 훨씬 더 많이 가지고 있을 건데 말이죠.
자, 아래는 태국시골사람들이 종종 먹고 파는 들쥐입니다.
좀 사진이 혐오스러울 수 있으니 보시기 싫으면 여기서 나가기를 하시면 됩니다.
역시 인류는 농경민이기 전에 수렵채취를 하며 살았죠.
제가 저 태국시골에 며칠 있을때도 저 쥐고기를 내어 주길래 조금 먹어 보았습니다. 사실 저 시체를 보지 않으면 다 같은 고기입니다.
저는 어릴때 시골에 살면서 토끼도살, 돼지도살, 오리, 닭 등등 눈 앞에서 도살하는 모습을 여러번 보았습니다. 오리인가 닭은 머리를 잘랐음에도 한창을 기어가더군요.
동남아시아 국가가 인구를 먹여살릴 수 있는 생산량이 압도적이죠. 좋은 기후대와 넓은 땅.
제가 태국지인들 먹고 사는 모습을 꾸준히 보고 있는데요. 다들 먹는것 하나에는 진심인 듯 합니다. 그들 사진들 보고 있으면, 나는 정말 먹는 것이 영양실조 수준이구나 라고 느껴집니다.
아래 다소 혐오스러운 사진(죽은 쥐)이 있어서 보시기 불편하신 분들은 보시지 마시라고 첫사진은 이걸로 올렸습니다.
저는 대체로 음식을 가리지 않고 감사히 먹는 편이라 어느 나라 음식이든 일반적인 사람들이 먹는 음식은 잘 먹습니다. 중국과 태국 등지에서 조금은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곳에서도 음식을 많이 먹었었기 때문에 어디를 여행다녀도 음식을 ‘그럭저럭’ 먹어 내었던 것 같습니다.
며칠전 태국친구가 먹은 사진이라며 보내주었는데요. 태국에서는 들쥐도 잡아 먹습니다. 쟤네들은 태국 야외에서 사는 들쥐입니다. 심지어는 국도를 달리다 보면 쥐고기 판매 하는 매대가 있을 정도 이니까요. 그래서인지, 태국사람들은 저 쥐를 잡는데도 크게 거부감이 없어 보이더군요. 어린 아이들도 꼬리를 들고 있는 모습도 있고… 심지어는 저의 블로그에 등장하는 태국친구도 쥐꼬리 들고 사진도 찍고 하더군요.
지금이야 음식물자가 풍족해서 ‘뭘 이런것까지 먹어?’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아직도 태국시골에서는 주변에서 잡을 수 있는 동물들은 다 잡아 먹는 듯 했습니다.
중국에서 괜히 땅 위에 네발 달린 것은 책상빼고 다 먹는다 라는 말이 나온게 아니죠.
저도 아주 극한상황에 닥치면 쥐고기도 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구워 놓으면 다 같은 고기니까요. 그리고 태국시골친구집에 있을때, 쥐고기로 만든 탕을 내 주어서 조금 먹기도 했었습니다.
그리고 음식은 어차피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습득할 수 있는 것들로 발달이 되어 온 것이잖아요. 음식에 상대적 우위가 있을 수가 있나요? 유럽사람들이 우리나라 개고기 먹는걸 보고 미개하다는 걸 보면, 도대체 쟤네들은 역사교육을 제대로 하고 있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유럽애들이 아시아나 아프리카, 북남미에서 사람에게 저지른 만행을 보면 ‘미개’ 라는 단어를 쓰기가 미안할텐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