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의 불상나무, 한국의 타이어나무

태국이나 대만 여행하면서 나무가 불상의 머리나 불상, 혹은 건물을 감싸는 그런 풍경을 종종 보는데요. 그걸 볼 때마다 이런건 돈으로 사지 못 하는 세월이 흘러야만 만들어질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한국출장갔을때, 타이어 사이로 나무가 자라 있더군요. 이걸 보면서 이것도 나름 세월이 만든 작품? 이라고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태국 아유타야에서 유명한 나무속 불상머리이죠. 보통은 저런 식으로 나무가 자라면서 불상을 감싸는 형태인데요. 

굳이… 아주 굳이 저 타이어나무가 더 어려울까 불상나무가 더 어려울까 라고 생각을 해 본다면, 당연히 불상나무죠.

타이어나무는 뿌리쪽을 뽑아 타이어 집어 넣고 다시 심으면 저런 모양 비슷하게는 만들 수 있으니까요.

이런식으로 나무전체가 담벼락이나 건물을 감싸 안고 있는 형태도, 나무 뽑아서 어찌어찌 한다고 되는 부분이 아니죠. “좋은 세월”이 흘러야만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입니다. 

조직이나 스포츠팀에서도 경력이 많은 고참과 젊은 사람들의 조화가 필요합니다.  젊은 사람들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어떤 부분은 세월이 흘러 쌓여야만 배우고 느낄 수 있는 것들이 있거든요.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시는 40대 이상의 분들은 아마도 느끼실 겁니다. 본인들의 20대 30대때 생각과 행동들이 얼마나 부족함과 아쉬움이 많았는지. 그리고 그 나이때에는 경험이 없어 그럴 수 밖에 없었음을 아실 겁니다. 

여기 태국의 옛수도 아유타야의 유적지에서는 미얀마왕조와의 전쟁의 상흔을 볼 수 있습니다. 많은 불상들의 머리가 잘려져 나가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전쟁을 하는 군대에서도 마찬가지죠. 좋은 경력을 가진 고참이나 지휘관이 필요하죠. 아무리 신체능력이 뛰어난 신참만으로는 전쟁에서 이기기가 힘듭니다. 

제가 군복무시절, 90년대 초반, 연세대후문쪽과 명동롯데백화점 앞쪽에서 시위를 막은 적이 있는데요. 당시 부산에서 거의 주말마다 시위진압을 위해 나갔었지만 당시 서울 연세대 시위규모가 너무 커서 부산을 비롯 전국각지에서 지원을 나갔었습니다. 

낯선? 서울, 그것도 시위가 극렬하다고 하는 연세대쪽에 방패들고 서 있으니 좀 무서웠습니다. 당시 가장 막내군번 이었거든요. 방패너머로 대학생들이 쇠파이프 들고 있으니 엄청 긴장이 되었는데, 처음으로 고참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확실히 고참은 고참이더군요. 뒤에서 계속 겁먹지 말고 쫄지 말고 정신 똑바로 차리고 방패 잘 들고, 대학생들이 공격해 들어오더라도 뒤에 고참들이 있으니 방패조는 대열무너지지 말고 라면서 계속 분위기를 잡았습니다. 

또한, 대학생들을 향해서도 도발?까지 하면서 들어올테면 들어오라고 소리를 치니까 당시 연세대후문과 명동롯데백화점 앞도로에서 고참들의 필요성이 느껴지더군요.  물론 그 외에는 맨날 고참들에게 구타당하던 시절이라 싫었지만 딱, 그 두번은 아직도 기억에 남아 있네요.

시위진압을 거의 주말마다 나갔고, 한번은 울산현대노동자 파업으로 15일인가? 인근 학교에서 먹고 자고 하면서 시위진압을 나갔던 것 같은데, 그런것도 이제 세월이 지나니까 그런 시위진압을 나갔었는지 기억도 가물가물 하네요. 정작 시위진압의 힘듬 보다는, 아침/저녁 고참들에게 구타당하던 고통이 더 커서 그런가 봅니다. 

제 인생에서 가장 큰일날뻔한 군대이야기는.

  1. 연세대 후문 방어할 때 개인에게 수류탄형 최루탄 2개씩을 지급해 줬는데, 저는 그걸 어떻게 몸에 지니는지 몰라 옷에 대충 걸쳐 두었다가 이동중 떨어뜨렸는데, 주위에 있던 다른 중대원이 주워준일… 아마 그거 분실했으면 그날 밤은 물론이고 며칠동안 갈비뼈 몇 개 나갈 정도로 구타를 당하고 어쩌면 영창 갔었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구타하면서 심한 부상을 당하는 부대원들이 많았습니다)
  2. 토요일 오후 부산남포동쪽 시위진압을 나갔었는데, 그날 자기가 챙기는 고참의 판쵸우의 꼭 챙기라고 했었나 보더군요. 그런데 저는 그 지시를 분명히 못 들었거든요. 그 당시는 거의 막내라 병장의 판쵸우의를 안 챙긴다는건 뭐 있을 수도 없는 그런 시절이었습니다.  

출동을 나갔는데, 아니나다를까 토요일 오후가 되니 예보대로 빗방울이 떨어지더군요. 그래서 진압복위에 판쵸우의 착용명령이 떨어졌는데, 제가 챙기는 고참만 판쵸우의가 없었습니다. 제가 안 챙긴거죠.

그 순간… 오늘밤 점호시간에 죽도록 맞겠구나 라고 생각을 했는데, 다행히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았었고 또 제가 챙기는 그 고참이 약간 좀 멋을 부리는 스타일이었습니다. 의경부대에는 기율경 이라고 무전기 몇 개 몸에 차고 있으면서 중대장의 지시를 무전으로 지시하는 약간은 특수위치라서 다른 대원과는 달리 청바지에 사복을 입고 머리도 좀 기를 수 있는 그런 위치였습니다. 그래서 칙칙하고 냄새나는 판쵸우의 입는걸 싫어했거든요. 그 날 그 고참이 ‘나는 판쵸우의 냄새나서 싫다. 안 입어도 된다” 라고 해서 소위 상병급들이 그냥 넘어간 사건도 있었습니다. 

그날 만약 그 병장이 상병에게 한마디 했으면 부대복귀해서 적어도 갈비뼈 한두개 정도 날아갈 정도로 군화발로 차였을텐데 말이죠.

갑자기 군대이야기 나와서 이야기가 살짝 샜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