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가 없으면 직접 만들어 논 만드는 태국지인

지인의 아이가 물속에서 물놀이를 하는 모습입니다. 여기 논이 있고 논 주변에 저수지가 보이는데요. 사실 이 곳은 아래의 사진과 같이 그냥 평지였는데, 장비를 동원해서 땅을 파 냈습니다. 꽤 깊어 보이죠.

저수지를 판 목적은 주변에 논이 있으니까 물을 대기 위해서 인공적으로 판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정작 저 작은 저수지에서도 물고기가 금방 자라서 물고기를 잡아 먹을 수 있다고 하네요. 이런걸 두고 일석이조 라고 하는 거겠죠.

그리고 얼핏 보기에는 그냥 좀 푸석한 흙으로 된 땅인데, 저렇게 비옥한 논으로 바꾸는 능력도 대단합니다. 비료나 퇴비를 엄청 뿌렸을 것 같은데요. 제가 농사를 안 지어서 말을 하기엔 조심스럽지만, 태국의 기후환경이면 조금만 퇴비 같은걸 뿌려두면 금방 저런 환경이 될 것 같습니다. 잡초든 뭐든 정말 금방 자랍니다. 

수확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지, 그냥 줄 안 맞추고 대충 간격만 맞추어 모를 심어 놓은 것 같습니다. 

제가 학생시절 할아버지 논에서 모내기를 해 본 적이 있는데요.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픕니다. 차리리 무거운 짐을 계속 나르는 것이 더 쉬울 정도로 아픕니다. 그걸 하루종일 하고 있는 당시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도대체…

제가 가끔 태국지인의 농촌모습을 소개해 드리는데요. 지난번 올린 이후로 그간에 또 낚시를 했더군요.

메기는 진흙에서 퍼 담거나 나무에 그물을 끼워 몰아서 잡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저렇게 낚시로도 잡는 군요.

메기매운탕 한상에 한마리 넣어서  대략 3만원~5만원 정도 하는데, 저 정도면 몇 상은 차릴 것 같습니다.  

농사 지으면서 저렇게 낚시도 하고 밤에는 잡은 물고기 요리해서 먹고…

제가 가끔 태국농촌 관련 글을 쓸 때 마다, 조만간 집주변에서 불 피워서 직화로 고기 한 번 구워 먹어야지 라는 생각을 하는데, 그게 쉽지가 않더라구요. 캠핑장비 구입해서 캠핑이 아니라 그냥 저 태국지인처럼 집주변에서 저렇게 대충 화로 만들어 고기도 굽고 물도 끓이고 해 보고 싶은데, 저는 나름 대만의 시골쪽에 살고 있어도 저게 잘 안 되네요.

참고로 대만은 중추절(추석)연휴가 되면 사람들이 집밖에 나와 고기를 구워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올해는 저도 한 번 해 볼까 합니다. 

석가 라는 과일입니다. 대만에서도 많이 나는 과일이구요. 나무상태나 열매의 크기를 봤을때는 전문적으로 과수원에서 키우는 것이 아니라 그냥 자연상태에서 자라고 있는 석가 인 듯 합니다.

과수원에서 키우는 석가든 과일들은 품종도 미리 고르고, 과일이 열리기 시작하면 불필요한 과일들은 잘라내고 가지도 쳐 주고 해야 영양분이 특정 과일에 몰려 더 크고 당도가 높아 지는데요. 아무래도 자연상태에서 자라는 과일들은 좀 작거나 당도가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그냥 야생에서 열려있는 과일들 임의로 따서 먹어 보면 느낄 수 있을 겁니다. 과수원에서 키운 자두는 달고 맛있는데, 자연속에서 그냥 자란 자두는 과일가게에서 파는 것처럼 당도가 좋은 걸 찾기가 어려울 겁니다. (모르죠. 서식환경이 아주 좋은 기후대에서는 자연에서 자란 과일도 당도가 좋고 더 클 수도…)

이 지인의 이 다리사진은 점점 시그니쳐사진이 될 것 같은 분위기 입니다. 이 구도의 사진을 엄청 좋아하는군요.

오늘도 태국지인발 농촌사진들을 소개해 보았습니다. 

종종 유튜브에서 시골에서 사는 외국인들 컨텐츠를 보기도 하고, 미니멀리즘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영상을 보기도 하는데요. 저도 이런 생활모습을 ‘영상’으로 한번 만들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