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관만보면 그냥 방치된 폐가처럼 보입니다. 제가 사는 여기 지방도시, 마을에는 이런 폐가가 아주 많습니다. 이건 지금 대만의 문제뿐만 아니라 고령화,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나라들의 공통된 현상인데요.
특히 이 골목은 저 끝쪽이 막혀 있는 골목인데다가 집들이 대부분 비어 있어서 이 골목전체가 다 죽어 있는 그런 곳입니다.



저같은 외국인, 이방인에게는 이런 모습이 특별해 보이고 소위 ‘여행하며 구경하는 맛’을 내게 해 주지만 사실 이런 폐가가 많아지면 지역경제나 미관등등에 좋지는 않습니다.
무튼 이 골목도 폐가들이 있는 곳인데, 최근에 여기의 한 곳에서 누군가가 카페를 열었습니다. 주변에 상권이 없는 골목의 오래된 건물을 활용해 카페를 열었다는 컨셉이 저의 카페와 비슷해서 한 번 와 보았습니다.


오래된 형태의 건물이라 화장실이 건물뒷편에 있더군요. 건물뒷편의 집도 이런 폐가 더군요.
주변환경은 아주 좀 열악합니다. 만약 이런 건물 하나 인수해서 새롭게 뭘 하나 시작하려고 하면 첫시작단계에서는 ‘서글프다’ 라는 느낌이 들겁니다.
그럼에도 여기가 만약 내 나라라서 처음 청소를 할 때 도와주는 가족, 친구가 좀 있으면 뭔가 낭만 비슷한 것도 있겠지만, 저처럼 외국에서 그것도 낯선 도시에서 혼자 이런 일을 하면 힘들기도 하고 서글프기도 합니다.
보통 이런 장소에서 이런 건물을 찾는 사람들은 임대료라도 최대한 아껴보자는 소규모 창업자들이죠. 투자금액이 많아서 깨끗한 건물에, 인테리어업자들 불러서 턴키로 다 하면 편하긴 합니다만, 그게 다 돈입니다.





허름한 외관과는 다르게 내부는 상당히 깔끔하고 분위기있게 꾸며 놓았습니다.
부부인지 연인인지는 모르겠지만, 둘 다 여행 좋아하고 해양스포츠 서핑 이런거 좋아해서 이렇게 카페 차려 놓고 조금은 자유롭게 사는걸 즐기는 것 같더군요.
개업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아직 장사가 잘 되는지 안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임대료는 엄청 쌀 것 같습니다. 요즘 한국도 지방도시, 시골지역의 폐가들을 장기무상임대해서 젊은사람들을 유치하려는 지자체가 있는 것 같던데요. 용기만 있으면 도전을 해 볼 수가 있죠.


젊은 사람들의 이런 도전이 잘 되기를 저는 늘 응원합니다. 특히 소자본으로 시작을 하는 이런 창업자들이 무난하게 먹고 살 수 있는 사회가 되길 바라는데요.
한국도 이번주에 새로운 대통령과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으니 좀 더 희망차고 나은 사회가 되길 기원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