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며칠전 저의 카페 단골고객과 서양장기, 체스를 두어서 2:1로 이겼다는 글을 올렸는데요.(그 글 보러가기)
어제 다시 복수매치를 했습니다. 그 단골손님이 체스 잘 하는 자기 친구를 데리고 오겠다고 했는데, 정작 그 친구는 오지 않아서 저의 미국인손님과 몇 수 두었습니다.

실력은 저 미국인손님이 가장 월등합니다. 제가 아직 이겨본 적이 없습니다. 최근에 유튜브를 보면서 조금 연습을 했더니만, 어제는 약간의 긴장감을 주는 순간이 있긴 했습니다.
그리고 그 날 저에게 2:1로 졌던 손님이 다시 저와 한판 두었는데요. 또 제가 이겼습니다. 일단 저 손님보다는 아주 미세하게 제가 실력이 나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손님은 체스를 둘 때 살짝 안 좋은 습관이 있더군요. 기물을 들었다가 다시 내려 놓는 습관은 별로 좋은 매너가 아닙니다. 뭐 어쩌다 한두번은 그럴 수 있지만 매번 들었다 내려 두면 좀 그렇죠.

현재 체스를 배우면서 가장 헷갈리거나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 기물이 ‘대각선 이동’ 이 가능한 비숍과 퀸 인데요. 아무래도 한국장기에서는 이런 기물이 없어서 아직은 비숍과 퀸에 기물이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장기, 중국장기, 체스 이렇게 두어 보니 체스와 한국장기는 재미있구요. 중국장기는 조금 재미가 없습니다. 중국장기는 상象이 적진을 넘어서 공격으로 사용할 수 없고, 병/졸 이 자기 진영에서 좌우로 움직일 수가 없어 진법의 다양성이 좀 많이 떨어지더군요. 가뜩이나 장기가 바둑에 비해서 수의 변수가 적어 단조롭다 여겨지는데 병/졸마저 본진에서 좌우로 못 움직이니까 더 전술이 더 단조로워 지더군요.
체스는 아직 초보자라 뭐라 평가할 단계는 아닙니다. 한국장기와는 달리 체스는 글로벌하게 다양한 외국인들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더군요.
언젠가 저에게 체스를 가르쳐 준 저 미국인손님을 이길때까지 연습을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