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오전 태국지인집의 침수상황

태국에 좀 살아 보신 분들은 공감하시겠지만, 도시가 전체적으로 배수가 잘 안 됩니다. 그래서 비가 내리면 도로침수가 자주 발생합니다. 인도가 침수되어 발이 물에 젖는 것도 문제고, 바닥의 물이 얼마나 더러운지 잘 아니까 그것도 문제입니다. 

오늘 일요일오전(20일) 아침의 저의 태국지인 카페의 모습입니다. 

도로가 침수되는 거야 뭐 밖에 나가지 않으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문제는…

집 옆 마당, 공터에도 물이 저렇게 차 올랐습니다. 배수가 전혀 안 된다는 거죠. 지대가 살짝 낮으니까 빗물이 여기로 흘러 들어와 고이는 겁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비가 조금만 내려도…

집 내부까지 이렇게 물이 들어찬다는 겁니다. 다행히 잠자는 공간은 2층이라서 직접 피해는 없지만, 내가 살고 있는 거실, 주방 등이 저렇게 침수가 되었다고 생각을 하면 참 암담합니다. 청소는 차치하더라도 가구, 가전, 물품등 생각만해도 답답하죠.

그런데 태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이런 상습침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1년 태국 아유타야 지역에 대규모 홍수가 나서 그 지역 공업단지의 생산에 차질을 빚어 전세계 컴퓨터부품가격이 폭등했다는 기사도 있었죠. 그 이후로 아유타야시정부에서는 공업단지를 홍수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대비를 해서 지금은 웬만한 폭우에도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제가 아유타야 있을때 둘러 보니 해자를 만들어 놓은 건 보이더군요.

하지만. 주택가를 위해 정부가 나서지는 않다보니 침수가 되는 지역은 계속 침수가 됩니다. 

그럼에도 태국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어쩔 수 없는것 아니냐 라는 반응입니다. 

제가 태국에서 근무를 할 때 딱 한번 지각을 한 적이 있는데요.

아침에 눈을 뜨니 살고있는 지역이 물난리가 났더군요. 또, 저를 픽업해 주는 기사분이 있었는데, 시간이 되어도 오지 않았습니다. 조금 늦는다고 하더군요. 제가 보통 출근을 대략 1시간 정도 일찍 해서 여유가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회사까지 가는 도로가 난리가 아니더군요. 그래서 그 당시 약 40분 정도 지각을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뭐 어쩔 수 없죠. 

저는 지각에 좀 민감한 편이었는데, 정작 회사의 사람들은 태국의 이런 홍수 등이 익숙한 듯 ‘살면서 종종 겪을 거다’ 라고 하더군요.

무튼 오늘 오전 태국지인이 보내준 침수사진을 한 번 올려 보았습니다. 

오늘 태국해안가도시 바닷물 역류현상

오늘아침 태국친구가 태국에서 보내준 사진입니다. 바닷물 수위가 높아져서 도로까지 물이 역류한 상황이라고 하네요.
저 지역이 바다에서 가까운 지역이거든요. 태국친구 말로는 저렇게까지 물이 많이 차 올라온 적이 없었다는 현지인들의 의견이라고 합니다. 

하필이면 친구의 가게쪽에서부터 물이 차 올라 장사하는데도 약간 지장이 있겠는데요.

아래 간단히 짧은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

영상을 보시면 하수도에서 물이 역류해서 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것과는 조금 다른 상황이지만 방콕이든 태국의 많은 도시들이 배수시스템이 그다지 좋지 않아 비가 오면 물에 잠기는 경우가 많긴 합니다. 

저의 어머니세대처럼 혹시나 이런 현상이 또 “용왕신이 노해서” 이런 말들을 할까봐, 제가 빨리 검색을 좀 해 보았습니다. 

그림출처 : https://www.rmg.co.uk/stories/topics/how-far-away-moon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울 때가 대략 363,000Km 라고 하는데요. 찾아보니 오늘이

자료출처 : https://www.vercalendario.info/en/moon/united_states-11-february-2024.html

오늘이 363,386Km 으로 지구와의 거리가 다소 가까워 간조만조가 심할 수는 있겠네요. 뭐 그럼에도 다른 유사한 거리일 일때 이렇게 까지 차 오르지 않았다고 하면,  그 외에의 원인이 있을수도 있겠습니다. 말씀드리고 싶은 요지는 이런 것들이 용왕신, 부처님이 노해서 그런건 아니라는 겁니다. 

나중에는 급기야 반대편 차선까지 물이 차 올랐다고 합니다. 

그리고…

하수도관에 있던 각종 벌레들이 기어 나오고 있다고 하네요.

이전에 보면, 낙동강하구쪽도 바닷물이 강쪽으로 밀려 올라와 강의 염분이 올라갈 때도 있거든요. 그리고 오랜기간 밀물썰물로 인해 해안가의 수상동물이 점차 양서류로 비자발적 진화가 되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어제 대만의 설이었는데, 카페에 손님이 많아 즐거운 하루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