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과외 시키고 과외비는 꿀꺽한 사건

미국인에게 대.리.과.외. 시키고 과외비는 그대로 받는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저 날 저 학생 영어과외가 있는 날인데, 마침 단골미국인손님이 와 있어서 직접 자리를 마련해 주었죠. 그런데 저 중학생은 영어를 거의 못 하거든요. 그래도 일단 앉혀서 대화를 하라고 했습니다. 

그렇게 한시간 가까이 미국원어민의 지도를 받고는 제가 “오늘 수업은 여기까지다. 다음수업에 보자” 하고 돌려 보냈더니 제 아내가

“아니 과외비를 받고 수업도 안 하고 보내면 엄마가 뭐라고 하지 않을까?” 라면서 걱정을 하더군요. 그래서 “오늘 엄청 좋은 수업 다 했는데?” 라고 말을 해 주었죠. 그리고 밤늦게…

학생의 어머니에게서 메세지가 왔더군요.

“아들이 오늘 엄청 재밌었다고 하네요”

“저는 수업전부터 재미있었을거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미국손님있을때, 조금 일찍 오라고 연락을 드렸던 거에요”

“아들이 엄청 긴장을 했다고 하네요. 왜냐하면 진짜 외국인 앞에서 앉아 있어서요”

제 아내의 걱정과는 달리 어머니도 아들도 아주 좋아하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업’을 한다고 하면 펜을 들고 공책을 꺼내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선생님은 말을 하고 학생은 듣는’ 그런 경직된 수업을 생각하지만 사실은 다양한 형태로 더 재미있게 배울 수 있습니다. 저는 어느 순간부터 외국어를 가르치는 법을 깨달았죠. 그리고 알게 되었습니다. 기존의 외국어학습방법이 얼마나 재미없었는지… 이는 외국어뿐 아니라 많은 학문들이 더 재밌게 배울 수 있는데, 기존의 공교육방식의 틀에 사로잡혀 그 사고의 틀을 깨지 못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제가 대학생때 과외를 했던 중학생 여자애가 생각이 나네요. 그 당시 일주일에 과외를 7개나 하고 있더군요. 그러면서 ‘한자’ 과외까지. 당시 저는 인생을 그렇게 깨닫지도 못 한 상태였고, 가르치는 것에 경험도 없고 서툴었고, 기존의 틀에 익숙해 있던 대학생이었습니다. 그냥 앉혀놓고 한자 몇 개씩 수업시간내내 반복적으로 가르치고…

그 여학생이 저에게 했던 말이 지금도 생각납니다.

“선생님. 저 너무 힘들어요. 엄마가 일주일에 과외를 7개나 시켜서요.”

지금의 저 였으면 그 학생에게 훨씬 더 재미있고, 한시간의 수업이 지루하지 않게, 수업이 끝나더라도 뭔가 배울 수 있게 가르쳐 주었을텐데요. 그 때는 저도 ‘인생경험’이 많지 않을때라 그런걸 몰랐죠.

어제 저의 중학생과 수업을 했는데, 어제는 영어과외는 하지 않고, (보통의 80% 학부모가 생각하기에는) 쓰잘대기 없는 중국어성조, 발성연습만 했습니다. 그런데 그게 쓰잘대기 없지 않죠. 앞번 과외선생님은 일년 넘게 단어, 숙어만 암기를 시켰다고 하더군요. 저도 중학생때 단어숙어 위주로 암기했지만 영어 안 늘더군요. 중국어도 그렇게 공부를 했을때 늘지 않았구요.

무엇보다 단어숙어 암기만 하고 있으면 재미가 없잖아요. 

무튼, 저는 제가 가르치는 학생에게는 엄청난 책임감을 가지고 반드시 저 학생의 언어실력을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